Missions (선교)

I saw the Philippines housekeeper coming into the country

코필아카데미 2024. 10. 22. 10:55

Early last month, 100 Filipino housekeepers came to Korea and felt differently. Many of them who were selected through competition in their home countries graduated from college,
(지난달 초 필리핀 출신 가사관리사 100 명이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기사를 보며 느낀 소감은 참으로 남다르다. 본국에서 경쟁을 거쳐 선발된 이들 중 상당수가 대학을 졸업했고)

They are talented people who can speak Korean as well as English. After four weeks of specialized training in Korea, housekeepers were assigned to families they wished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and household chores.
(영어는 물론 한국어도 가능한 인재들이다 . 가사관리사들은 국내에서 4주일 동안 특화 교육을 받은 뒤 지난주부터 희망 가정에 배치돼 육아와 가사를 돌보기 시작했다)

The Philippines, which gained independence in 1946 after serving as a colony of Spain, the U.S., and Japan, has for a while been the second most powerful country in Asia after the Second World War. In 1966
(스페인·미국·일본 식민지를 거쳐 1946년 독립한 필리핀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한동안 아시아에서 일본 다음가는 위상과 실력을 갖춘 나라로 군림했다. 1966년에)

With the inauguration of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the Philippines' capital city was Manila. The Philippines had per capita income of 254 U.S. dollars in 1960, more than three times that of Korea (79 dollars). It is one of two Asian countries that sent troops to help Korea during the Korean War.
(아시아개발은행(ADB)이 발족하면서 본부를 필리핀 수도 마닐라에 둔 것도 그래서다.  필리핀은 1960년 1인당 국민소득이 254달러로 한국(79달러) 의 3배도 넘었다. 6.25전쟁 때 우리를 도우러 군대를 파견한 아시아 2개국 중 하나이기도 하다)

At that time, the Philippines was one of many independent countries, but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development were superior to those of Korea. Since then, the economic status of the two countries has been completely reversed for a little more than half a century. According to the World Bank, the per capita income of Korea (35,490 dollars) last year was 8.4 times that of the Philippines (4230 dollars). The real example of such a change is the phenomenon of competitive entry of Filipino housekeepers.
(당시에는 필리핀 역시 수많은 신생 독립국의 하나였지만 발전을 위한 여건과 환경이 한국에 비해 월등했다.  그때부터 반세기가 조금 넘은 오늘날 두 나라의 경제적 위상은 완전히 역전됐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국민소득은 한국(3만5490달러 )이 필리핀(4230달러)의 8.4배다.  이러한 변화를 실감나게 보여 준 사례가 바로 필리핀 가정부의 경쟁적 입국 현상인 셈이다)

Another indicator of the relative strides of the Korean economy is the comparison with Japan. Japan, which emerged as the world's industrial power early on, had a per capita income of about 10 times that of Korea in 1964, when the first Tokyo Olympics were held. At that time, it was considered unimaginable for Korea to catch up with Japan economically and culturally. However, it is regrettable that Korea's per capita income has surpassed that of Japan recently.
(한국 경제의 상대적 약진을 나타내는 또 다른 지표로 일본과의 비교도 있다 . 일찍이 세계의 산업 강국으로 부상한 일본은 첫 번째 도쿄올림픽을 치른 1964년 1인당 국민소득이 한국의 약 10배였다.  그때만 해도 한국이 일본을 경제나 문화적으로 따라잡는 것은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의 1인당 국민소득이 일본을 넘어섰다니 감회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

The results shown by the two examples above are not because the countries compared to Korea in economic performance were particularly sluggish or hesitant, unlike Korea, but because Korea's development and growth rate were much faster than those of these countries for one reason or another. The period also lasted relatively longer. The first reason is the attribution of Koreans' speed. In other words, they are the ability to do things quickly.
(위의 두 사례가 분명히 보여 주는 결과는 경제적 성과에서 한국과 비교되는 국가들이 한국과 달리 특별히 부진했다거나  머뭇거렸기 때문이 아니라 이런저런 이유로 한국의 발전과 성장 속도가 이들 나라보다 훨씬 더 빨랐기 때문이다. 그 기간 또한 상대적으로 더 오래 지속됐다. 첫 번째 이유는 한국인이 가진 빠름의 속성이다. 달리 말하면 일을 빨리 해낼 수 있는 능력이다)

Surprisingly, however, the ability of speed has long been regarded as a drawback or weakness of Koreans. Until recently, this was the case. "Hurry up" was blamed for accidents or insolvency, and the ability of speed was rather neglected. Few ethnic groups in the world can handle things faster than Koreans. The ability to do things faster means economic efficiency and becomes a source of competitiveness.
(하지만 놀랍게도 빠름의 능력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결점이나 약점으로 치부돼 왔다. 얼마 전까지도 그랬다 . ‘빨리빨리’는 사고나 부실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빠름의 능력은 오히려 경원시됐다. 세계에서 한국인만큼 일을 빨리 처리하는 민족은 드물다.  남보다 더 빨리 할 수 있는 능력은 경제적 효율성을 의미하고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

Nevertheless, since the Joseon Dynasty, this ability has been suppressed and disregarded to prevent it from being historically, institutionally, and socially. Then, when conditions were in place, its true value exploded.
(그런데도 조선 왕조 이래 역사적·제도적·사회적으로 이 능력을 펴지 못하도록 억누르고 경시했다.  그러다 여건이 마련되자 그 진가가 폭발적으로 발휘된 것이다)

Political leadership that enabled Korea's phenomenal economic growth is the second reason, which is the sufficient condition for it to be able to demonstrate its potential. As previously explained, it is true tha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systems did not systematically provide conditions for sufficient expression of these advantages until the Joseon Dynasty, colony of Japanese Imperialism period, and the early day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rather than motivation, they rather suppressed them.
(한국의 경이적인 경제 성장을 가능하게 한 충분조건 , 즉 두 번째 이유는 잠재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만든 정치 지도력이다. 앞서 설명한 대로 조선 시대와 일제 식민지 시기, 그리고 대한민국의 초창기까지는 이런 장점이 충분히 표출될 수 있는 여건을 정치·사회 ·경제 제도가 체계적으로 마련해 주지 못했고, 동기 부여는커녕 오히려 억제한 게 사실이다)

As the competition system began in earnest due to the strong industrialization policy of the May 16 Revolution government, the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the 'Five-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Korean economy into the global economy following a surge in exports, we moved faster than our competitors.
(5·16 혁명정부의 강력한 산업화 정책과 ‘경제개발 5 개년계획’의 지속적 시행 및 수출 급증에 따른 한국 경제의 세계 경제 편입으로 경쟁 체제가 본격화하자 그동안 억제됐던 속도 본능이 발휘되면서 우리는 경쟁자들보다 더 빨리 움직여 앞서 나갔다)

I guarantee you that if the regime change by election continued without the May 16th military revolution after the April 19 Democratic Revolution,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would never have been achieved. Although good-intentioned coercion is sometimes inev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ere have been no cases in which voters voluntarily chose such coercion under the free election system, and even if there is one in the future, they will not continue to accept it.
(장담컨대 4·19 민주혁명 후  5·16 군사혁명 없이 선거에 의한 정권 교체가 계속됐다면 ‘한강의 기적’은 결코 이뤄지지 않았을 게다.  국가의 발전을 위해 때로는 선의의 강제가 불가피하지만 자유선거 제도 하에서 유권자들이 자발적으로 그런 강제를 선택한 예는 없었고, 설사 앞으로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지속적으로 받아들일 경우는 없을 것이다)

A bigger achievement that Korea can boast of is not only its rapid growth in an unprecedentedly short period of time, entering the ranks of advanced countries but also achieving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together with little time difference. While many developing countries desperately want to see either industrialization or democratization go their way, Korea has achieved both goals almost simultaneously in a very short period of time.
(한국이 자랑할 수 있는 더 큰 성과는 유례없이 엄청나게 짧은 시간에 고도성장을 이룩해 선진국 반열에 진입했을 뿐만 아니라 산업화와 별 시차 없이 민주화도 함께 성취한 것이다. 많은 개발도상국이 산업화와 민주화 둘 중 하나만이라도 제대로 이루기를 간절히 바라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 상황에서 한국은 매우 짧은 기간에 두 목표를 거의 동시에 달성한 것이다)

 

Imagine. If Korea and the Philippines have continued to grow and develop without much change over the past years, it would be economically advantageous for Korean women to go to the Philippines and get a job as domestic helpers and factory workers by now. Korean men also jumped into the Philippine labor market, which is clear that they will earn more money than in Korea, where the economy is lagging and there are few jobs.
(상상해 보자. 한국과 필리핀이 지난 세월 큰 변동 없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발전해 왔다면 아마도  지금쯤은 한국 여성들이 필리핀에 가서 가사도우미나 공장노동자로 취업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유리할 것이다. 한국 남성들 역시 필리핀 노동시장에 뛰어드는 것이 경제가 낙후돼 일자리가 별로 없는 한국에서보다 돈을 더 많이 벌 것은 명약관화한 이치다)

Only when you know and recognize your past properly can you see the path and path for the future. Another lesson that world history teaches is the "truth" that there is speed in the rise and fall, and that those who prosper quickly can collapse quickly. Please remember only this "truth."

(자신의 과거를 제대로 알고 바로 인식해야 미래를 위한 길과 노정이 보이는 법이다. 세계 역사가 가르치는 또 하나의 교훈은 흥망과 성쇠에도 속도가 있고 , 빨리 흥한 자는 빨리 망할 수 있다는 “진리”다. 우리는 이 “진리” 만은 꼭 기억 해 주시기 바랍니다)